![main-image_edited.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90c3ee_16d311dd3d9b48cfa4e7097011628598~mv2.jpg/v1/fill/w_975,h_620,al_c,q_85,enc_avif,quality_auto/90c3ee_16d311dd3d9b48cfa4e7097011628598~mv2.jpg)
플러리시와 카운터드릴, 훈련법
![page124-1024px-Gründtliche_Beschreibung_der_Kunst_des_Fechtens_(Joachim_Meÿer)_1570.pdf.jp](https://static.wixstatic.com/media/90c3ee_dda7922ac5bb47b9a5e611bf1d94ebc6~mv2.jpg/v1/crop/x_0,y_88,w_855,h_577/fill/w_507,h_342,al_c,q_8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page124-1024px-Gr%C3%BCndtliche_Beschreibung_der_Kunst_des_Fechtens_(Joachim_Me%C3%BFer)_1570_pdf_jp.jpg)
플러리시는 "검을 휘두르다"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정해진 순서대로 기술을 전개하는 것을 뜻한다.
카운터드릴은 "반격훈련" 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정해진 순서대로 상대방과 기술을 주고받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이 두 수련법을 구분하는 명확한 차이는 없다는 견해이며 따라서 이 장에서는 플러리시를 "상대가 없이, 혹은 상대가 없어도 기술을 정해진대로, 혹은 무작위로 전개하는 훈련법" , 카운터드릴을 "상대방과 함께 정해진 순서대로 기술을 전개하는, 특히 상대방의 행동에 반응해서 공격하거나 반격하는 훈련법"으로 굳이 한정하겠다. 그렇게 해야만 독자로 하여금 쉽게 이해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너는 이 장에서 역사적으로 기록되어있는 플러리시와 카운터드릴, 혹은 내가 제안하는 효율적인 플러리시와 카운터드릴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 다만 너는 이 플러리시와 카운터드릴의 상세한 의도에 대해서는 배우기 어려울텐데, 이는 이미 앞의 장에서 각 자세와 기술들에 대해 설명했기 때문에 생략하는 것이다. 버셋젠과 몇몇 다른 기술들은 다른 장에서 다루도록 한다.
아래 단에서 설명할때에 있어서 "좌"는 좌측으로부터, "우"는 우측으로부터라는 의미이다.
![main-image_edited.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90c3ee_16d311dd3d9b48cfa4e7097011628598~mv2.jpg/v1/fill/w_975,h_620,al_c,q_85,enc_avif,quality_auto/90c3ee_16d311dd3d9b48cfa4e7097011628598~mv2.jpg)
존하우 카운터드릴 1~17
존하우 패턴 드릴
1. 존하우 즈버크하우
2. 존하우 볼타스텝 즈버크
3. 존하우 즈버크 두번
4. 존하우 쉴하우
5. 존하우 쉴하우 뒷날 즈버크
6. 존하우 옥스 찌르기
7. 존하우 옥스 두히백셀
8. 존하우 두번
9. 존하우 두번 카운터 슈나이든
10. 존하우 두번 벨퓌렌
11. 존하우 행엔 흘려 존하우
12. 존하우 행엔 카운터 쉴하우
13. 존하우 주켄 샤이텔하우
14. 존하우 왼쪽 낮은즈버크
15. 존하우 왼쪽 오른쪽 낮은즈버크
16. 존하우 듀플리에렌
17. 존오트 존하우
해설
존하우 카운터드릴
이 카운터드릴에는 리히테나워의 거의 모든 기본기가 들어가있기에 굳이 다시 한번 설명하도록 하겠다. 역사적 플러리시는 입문자의 기준에서 난해한 점이 많기에 이 카운터드릴로 하여금 연습하면 좋다. 존하우는 앞날로 대각선을 베는 기술로 리히테나워 검술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베기 중 하나이다. 뒷날베기에 비해 거리가 길고 샤이텔하우에 비해 상대방의 측면을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공격을 전개할때 매우 유용하다. 가장 좋은것은 첫 존하우로 상대를 즉사시키는 것이지만 그렇지 못했을 경우 아래와 같은 기술들을 사용한다. 아래의 기술들은 실전에서 자주 나오는 기술들을 추린 드릴이다. 첫 존하우를 할때 유의점은 상대방의 검을 치지 않는 것이다. 기세에 밀려 상대의 검을 치려하면 상대는 이를 눈치채고 검을 바인딩하지 않고 반대편을 치려고 할 것이다. 또한 0번째 기술은 상대방을 일격에 즉사시킴임을 명심하라. 아래의 카운터드릴은 서로 우측 폼탁인 상태에서 우측에서부터 좌측으로 존하우하며 시작한다.
1. 존하우 즈버크하우
오른쪽 폼탁에서 오른발이 나오며 존하우로 상대방의 왼쪽 머리를 베어라. 검끼리 바인딩되어 교차되거나 크론이 완성되면 그대로 칼날의 면을 엄지로 받친 뒤 날을 뒤집어 즈버크하우로 상대방의 관자놀이나 목을 수평으로 베어라.
2.존하우 볼타스텝 즈버크하우
만약 1번의 기술을 사용하였는데 상대가 옆으로 검을 세워 방어하였다면 왼발을 그대로 뒤로 빼 상대의 뒷목을 베어낸다. 여기서 왼발을 뒤로 뺀다는 것은 자기 앞발의 90도 각도로 축회전을 한다는 의미이다
3. 존하우 이후 양쪽으로의 즈버크하우
마찬가지로 1번의 기술을 사용하였는데 상대가 반대편을 견고하게 방어하여 2번의 기술을 사용해도 의미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 그대로 검을 떼어 반대편으로 즈버크하우한다
4. 존하우 쉴하우
존하우를 사용하였는데 상대가 검을 높게 들어 방어하면 왼쪽 옥스로 전환하며 쉴하우로 수직으로 내려쳐 머리를 벤다. 이때 내 검의 약한schwach 부분이 바인딩되어 있으면 깊게 벨 궤도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강한stark부분에서,혹은 중간 부분에서 바인딩되어 내려치는것이 좋다. 만약 이때 상대방이 방어하지 않고 손을 노린다면 자신의 팔을 가능한 한 자신의 왼쪽 전방 대각선 위로 위치시키면 상대방의 검이 자신의 손에 닿지 않게 된다
5. 존하우 쉴하우 낮은 즈버크하우
네가 4번의 기술을 행하였을 때 상대가 물러나거나 검을 자신의 머리 위로 높게 들어 너의 쉴하우를 완벽하게 방어했을 경우 자신의 검을 그대로 엄지가 받혀진 각도 그대로 원형으로 뒤집어 상대방의 손목이나 겨드랑이,목을 올려벤다. 이때 반드시 검이 내 머리 위에서 행엔이나 옥스에서 끝나게끔 베기를 하여야만 상대방의 반격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네가 상대방의 허리나 겨드랑이를 베어도 상대는 퍼멀이나 샤이텔하우로 너를 내려치려 할 것이다.
6. 존하우 옥스 찌르기
존하우를 한 뒤 자신의 몸쪽으로 검을 당겨 짧은 왼쪽 옥스를 만들고, 팔을 뻗어 긴 옥스로 상대의 목이나 눈을 찌른다. 이때 반드시 크로스가드가 대각선 바깥으로 위치해야 손을 방어할 수 있다. 만약 상대방과 가까이서 바인딩된다면 존오트에서 바로 옥스로 전환하여도 상대를 찌를 상황이 나오지 않는다. 이때는 짧은 옥스로써 거리를 확보하도록 한다.
7. 존하우 옥스 두히백셀 찌르기
6번의 기술을 행하였는데 상대가 검을 옆으로 치워 찌르기를 방어했을 경우 다시 왼쪽 아래로 칼끝을 살짝 돌려 상대 눈이나 목을 찌른다. 이때 너무 가까워 두히백셀하기 힘든 상황이면 최대한 손을 뒤로 빼면서 두히백셀하면 성공할 수 있다.
8. 존하우 오벤 압네멘
존하우를 한 뒤 그대로 반대편으로 존하우한다. 이때 두번째 존하우는 왼발이 너의 왼쪽 대각선으로 움직여야 상대방의 압박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9. 존하우 오벤 압네멘 카운터 슈나이든
만약 상대방이 존하우를 한 뒤, 검을 떼고 반대편으로 존하우하려 하면 그대로 칼을 상대 손쪽으로 밀며 따라간 뒤 아래로 짓눌러썬다. 이때 검을 떼지 않고 검의 강한 부분stark로 상대방의 우반신과 내 정면이 마주보게끔 상대방을 따라가며 눌러썰면 적의 손목을 확실하게 눌러썰 수 있다. 상대방의 손을 썰어내려 시도하는 중에 상대방이 눈치채고 손을 들거나 멀어지려고 한다면 약한 부분schwach로 상대방의 손목을 베면서 옆으로 멀리 빠진다
10. 존하우 두번 펠러
네가 존하우를 시도하는 도중 상대방이 똑같이 공격으로 응수하지 않고 방어하려 한다면 상대방의 검에 내 검이 부딪히기 전 뒤집어 반대편을 친다. 실제로 공격하지 않고 다른곳을 노리는것을 속임수(verfuhren)(fehler)이라 한다
11. 존하우 행엔 존하우
서로 존하우를 하여 검이 교차된 상황에서 상대가 너를 강하게 압박할 경우 너는 버티지 않고 행엔으로 흘려 상대 검을 내려떨구고 위버라우펜(상위,머리를 우선한다)으로 존하우한다. 이때 행엔은 면으로 흘려야 상대 검이 쉽게 흘러내려간다
12. 존하우 행엔 카운터 쉴하우
11번과 반대로 네가 존하우를 한 뒤 상대를 압박하는 상황에서 상대방이 행엔으로 너의 공격을 흘리려고 하면, 그대로 왼쪽 옥스 쉴하우로 전환하여 상대 검을 가두며 뒷목을 썬다. 이때 크로스가드로 상대 검을 가두어야 상대가 낮은 즈버크하우로 반격하지 못한다.
13. 존하우 주켄 샤이텔하우
존하우 뒤 크로스가드로 검을 높게 올려쳐 상대의 자세를 깨트린 후 다시 샤이텔하우로 내려벤다. 간혹 주켄을 어려워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이미 검의 크로스가드나 강한 부분끼리 바인딩되었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한 상황이라면, 검을 내린 뒤 다시 올려쳐야 한다.
14. 존하우 왼쪽 낮은즈버크하우
존하우를 한 뒤 너의 기준으로 왼쪽 대각선으로 빠지며 상대방의 손이나 겨드랑이,가슴을 벤다. 이때 검을 뒤로 떼지 않고 바인딩 되어진채로 즈버크하우하면 상대방의 크로스가드에 결려 실패할 수 있다. 검을 뒤로, 크게 회전시켜야 한다.
15. 존하우 왼쪽 오른쪽 낮은즈버크하우
네가 존하우에 이어 왼쪽 낮은 즈버크하우를 하였는데 만약 상대가 행엔이나 플루크로 방어하면 즉시 오른쪽 낮은 즈버크하우로 상대의 빈틈을 노린다.
16. 존하우 듀플리에렌
존하우를 한 뒤 검을 붙인채로 왼쪽 존하우한다. 이와 동시에 왼발이 오른발 앞에 위치하도록 한다. 13번 주켄에서 설명한것과 같이 크로스가드나 강한 부분끼리 맞부딪힌 상황에서 듀플리에렌하려 한다면 크로스가드에 걸려 듀플리에렌하기 어렵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검의 중간부분으로 바인딩 한 뒤 듀플리에렌하거나, 검을 약간 더 옆으로 눕히며 상대의 목이나 눈을 벤다.
17. 존오트 존하우
존하우를 끝까지 베지 않고 칼끝을 상대 목에 겨냥한채로 멈춘다. 이렇게 한다면 상대의 존하우는 내려떨어지며 그대로 상대의 목을 찌를 수 있다. 이때 상대가 너의 찌르기를 옆으로 치워 방어하려고 하면 즉시 반대편으로 존하우하여 오벤 압네멘한다.
크럼프하우 카운터드릴 1~13
이 크럼프하우 카운터드릴은 상대방의 플루크나, 존하우 등 오버하우에 대항하여 할 수 있다. 네가 초심자라면 플루크에 대항하여 연습하는것이 좋다.
크럼프하우 패턴 드릴
1. 크럼프하우 후 쉴하우
2. 반대편 크럼프하우 후 쉴하우
3. 크럼프하우 후 플루크 쉴하우
4. 반대편 크럼프하우 후 플루크 쉴하우
5. 크럼프하우 펠러 플루크 쉴하우
6. 크럼프하우 후 크럼프하우 쉴하우
7. 크럼프하우 후 크럼프하우 쉴하우
8. 크럼프하우 후 크럼프하우 좌 존하우
9. 크럼프하우 후 크럼프하우 우 존하우
10. 크럼프하우 두번 샤이텔하우
11. 크럼프하우 즈버크하우
12. 크럼프하우 후 뮤티에렌 찌르기
13. 크럼프하우 후 뮤티에렌 찌르기 쉴하우 낮은 즈버크하우 쉴하우 낮은 즈버크하우
플러리시
flourish
마이스터하우 플러리시 (1번)
우 폼탁> 우 존하우> 좌 폼탁> 좌 존하우> 우 네벤훗> 우 운터하우> 좌 네벤훗> 좌 운터하우> 우 옥스> 우 크럼프하우> 좌 옥스> 좌 크럼프하우> 우 옥스> 우 낮은 즈버크하우>좌 옥스> 좌 낮은 즈버크하우> 우 옥스> 우 즈버크하우> 좌 옥스> 좌 즈버크하우> 우 옥스>우 쉴하우> 좌 옥스> 좌 쉴하우>우 옥스> 우 폼탁> 샤이텔하우> 알버> 좌 플루크> 좌 옥스> 런지
마이스터하우 플러리시 (2번)
우 폼탁> 우 존하우> 좌 벡셀> 좌 벡셀하우> 높은 폼탁> 좌 존하우> 우 벡셀> 우 벡셀하우> 높은 폼탁> 우 즈버크하우> 좌 옥스> 좌 즈버크하우> 우 옥스> 우 크럼프하우>좌 옥스> 좌 크럼프하우> 좌 옥스> 높은 폼탁> 샤이텔하우
요아힘 마이어의 슈트라이센 오프닝 4가지 방향으로의 공격
(마이어 챕터 10)(벡셀하우 카운터드릴 3)
우 네벤훗> 우 벡셀> 우 벡셀하우> 우 벡셀하우> 우 벡셀하우(존오트 정지)> (검끝을 좌측 아래로 바인딩하며) > 우 존하우> 좌 운터하우> 우 운터하우> 좌 존하우> 우 즈버크하우(뒷발을 볼타함과 동시에)
![main-image_edited.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90c3ee_16d311dd3d9b48cfa4e7097011628598~mv2.jpg/v1/fill/w_975,h_620,al_c,q_85,enc_avif,quality_auto/90c3ee_16d311dd3d9b48cfa4e7097011628598~mv2.jpg)
카운터드릴
CounterDrill
마이스터하우 카운터드릴
샤이텔하우 카운터드릴
자신 : 폼탁 > 샤이텔하우 > 왼손을 위로 올려서 깊게 공격 > 위버그라이펜과 동시에두히벡셀하여 찌르기
상대 : 알버 > 크론 > 더 높게 방어 > 정지
존하우 카운터드릴
자신 : 폼탁 > 존오트 > 존하우 > 쉴하우 듀플리에렌
상대 : 폼탁 > 존하우(끝까지) > 우측 방어 > 정지
크럼프하우 카운터드릴
자신 : 폼탁 또는 쉬랭훗 > 크럼프하우 > 크럼프하우(또는 펠러) > 쉴하우 > 즈버크하우
상대 : 폼탁 > 존하우 > 존하우(또는 정지) > 방어 > 정지
쉴하우 카운터드릴
자신 : 폼탁 > 쉴하우 > 찌르기 > 쉴하우 > 즈버크하우 > 존하우
상대 : 폼탁 > 존하우 > 옆으로 치워 방어 > 방어 > 방어 > 정지
즈버크하우 카운터드릴
자신 : 폼탁 > 즈버크하우 > 즈버크하우 > 즈버크하우(낮은) > 즈버크하우(낮은) > 쉴하우(펠러) > 존하우
상대 : 폼탁 > 방어 > 방어 > 낮은 플루크로 방어 > 행엔으로 방어 > 크론으로 방어 > 정지
즈버크하우 카운터드릴
쉴하우로 카운터드릴
상대방의 수평 즈버크하우에 대항하여 상대 즈버크하우의 위에서부터 쉴하우로 카운터드릴
낮은 즈버크하우로 카운터드릴
상대방의 수평 즈버크하우에 대항하여 상대 즈버크하우의 아래에서부터 낮은 즈버크하우로 카운터드릴
베케러로 카운터드릴
상대방의 수평 즈버크하우에 대항하여 수평으로 크로스가드로 받은 뒤 베케러로 아래로 쳐낸 뒤 위버라우펜
너가 상대의 즈버크하우를 위로부터 대응한다면 쉴하우하고, 아래서부터 대응한다면 낮은 즈버크하우하라. 또한 너의 검이 상대보다 빠르게 움직였다면 낮은 즈버크하우하고, 늦게 도달한다면 쉴하우하는것이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벡셀하우 카운터드릴
자신 : 우 벡셀 > 우 벡셀하우 > 우 즈버크하우> 좌 존하우 > 우 즈버크하우 > 우 존하우
상대 : 폼탁 혹은 플루크 > 오버하우 혹은 플루크 > 방어 > 방어 > 방어 > 정지
자신 : 좌 벡셀 > 좌 벡셀하우 > 좌 즈버크하우> 우 존하우 > 좌 즈버크하우 > 좌 존하우
상대 : 폼탁 혹은 플루크 > 오버하우 혹은 플루크 > 방어 > 방어 > 방어 > 정지
마이어의 벡셀하우 카운터드릴
우 네벤훗> 우 벡셀> 우 벡셀하우> 우 벡셀하우> 우 벡셀하우(존오트 정지)> 우 존하우> 좌 운터하우> 우 운터하우> 좌 존하우> 우 즈버크하우(볼타)
네 가지 버셋젠 / 카운터 / 카운터의 카운터
폼탁에 대항하는 즈버크하우 버셋젠
폼탁(오버하우)에 대항하여, 폼탁 > 즈버크하우 / 방어 / 반대편 즈버크하우
옥스에 대항하는 크럼프하우 버셋젠
옥스에 대항하여, 폼탁 > 크럼프하우 / 두히벡셀 / 반대편 크럼프하우 > 위버라우펜
플루크에 대항하는 쉴하우 버셋젠
플루크에 대항하여, 폼탁 > 쉴하우 / 두히벡셀 / 손을 뻗어 쉴하우
알버에 대항하는 샤이텔하우 버셋젠
알버에 대항하여, 폼탁 > 샤이텔하우 / 앞발을 뒤로 이동하며 높은 폼탁 / 전진하며 랑오트
뮤티에렌 카운터드릴
자신 : 우 폼탁 > 우 존하우> 좌 옥스(뮤티에렌으로)
상대 : 우 폼탁 > 우 존하우 > 정지
자신 : 좌 플루크 > 우 크럼프하우 > 좌 쉬랭훗 > 좌 플루크
상대 : 좌 플루크 > 정지 > 정지 > 정지
듀플리에렌 카운터드릴
존하우 오프닝 듀플리에렌 카운터드릴
자신 : 우 폼탁 > 우 존하우 > 우 존하우(듀플리에렌으로)
상대 : 우 폼탁 > 우 존하우 > 정지 / (우 운터하우)
즈버크하우 오프닝 듀플리에렌 카운터드릴
자신 : 우 폼탁 > 우 즈버크하우> 우 쉴하우(듀플리에렌으로)
상대 : 우 폼탁 > 방어 > 정지 / (상대방의 측면으로 이동하며 행엔이나 베케러로 상대의 검을 내린 뒤 위버라우펜)
벡셀하우 오프닝 듀플리에렌 카운터드릴
자신 : 우 벡셀 > 우 벡셀하우 > 우 즈버크하우 > 우 쉴하우(듀플리에렌으로) > 우 낮은 즈버크하우
상대 : 좌 플루크 혹은 폼탁 > 플루크 혹은 존하우 > 방어 > 정지 혹은 높게 들어 방어 > 정지
자신 : 좌 벡셀 > 좌 벡셀하우 > 좌 즈버크하우 > 좌 쉴하우(듀플리에렌으로) > 좌 낮은 즈버크하우
상대 : 좌 플루크 혹은 폼탁 > 플루크 혹은 존하우 > 방어 > 정지 혹은 높게 들어 방어 > 정지
플루크 오프닝 듀플리에렌 카운터드릴
자신 : 좌 플루크 > 바인딩 상태에서 슈니트 > 우 쉴하우(듀플리에렌으로) > 좌 낮은 즈버크하우
상대 : 좌 플루크 > 옆으로 치워 방어 > 정지 혹은 높게 들어 방어 > 정지